이유식

이유식이란 돌~두돌 사이에 이제 어른 밥을 먹어야 하는데 수유만 하던 아기가 바로 넘어 갈수 없기 때문에 그 중간과정에서 먹는 음식입니다.

영양공급, 고형식 먹는 연습, 바른 식습관, 저작 운동을 통한 두뇌 발달이 이유식을 하는 목표입니다.

쌀죽-고기-이파리 채소-노란 채소-과일 순서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밀가루는 7개월까지는 이유식에 첨가해야 알러지를 막을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하루 한번 먹지만 아가가 적응되고 더 원하면 7개월 이전이라도 2-3회 늘려도 됩니다.

이유식과 수유 바로 붙여서 먹이다가 7-9개월 어느 시점에 이유식 양이 충분히 늘게 되면 수유와 이유식을 따로 먹입니다.

아가들 마다 속도가 다르며 느긋한 마음으로 아가에 맞춰서 이유식을 진행합니다.

고기는 매일, 생선은 일주일에 두번만(수은, 중금속 중독 위험때문) 주는 것이 좋습니다. 과일보다 채소를 먼저 먹이고 시금치와 당근은 6개월

전에는 질소화합물이 있기 때문에 심각한 빈혈을 일으킬 수 있어 먹이지 않습니다.

계란이나 견과류는 이상반응 생기기 쉬우며 꿀과 생우유는 돌 전에 먹이지 않습니다.

 

이유식 재료

곡류 – 차조, 옥수수 등

육류 – 한우선물세트 , 닭, 돼지고기

채소 – 대부분 가능

과일 – 사과, 자두, 딸기, 토마토, 바나나, 아보카도 등 (당도 낮은 과일)

생선 – 대구살, 도미살(일주일 2번 초과 안됨)

유제품 – 8개월부터 플레인 요거트 가능

달걀 – 노른자부터 시작 1-2개월부터 흰자

콩류 – 대부분 가능

견과류, 유지류 – 견과류 이상반응 주의, 참기름 올리브유 소량 가능

 

시작 시기와 상관없이 7개월에는 중기 이유식 시작이 가능합니다. 아직은 수유와 이유식을 붙이지만, 이유식을 한번에 많이 먹으면 따로 먹여도

좋습니다. 오전 9시, 오후 1시, 오후 5시 중 편하게 주면 됩니다.

고기는 매일, 두부는 간혹, 이파리나 노란 채소 매일, 당도 높은 과일 빼고 주며 계속 같은 곳에 앉혀서 먹이고, 벌린 입안에 숟가락을 살짝

넣어 줍니다. (질감을 느낄 수 있도록)

잘 안 먹는다고 포기하지 말고 치아가 나는 것과 상관없이 진행합니다. 변에 음식이 그대로 나와도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핑거푸드 먹을 수 있고 스스로 먹을 수 있도록 기회를 줍니다.

이유식 2-3회, 간식1회(식사와 식사 사이) 양은 80-120cc 정도가 적당합니다.

새로운 식품은 2일 정도 간격으로 첨가하고 파, 마늘 등 향신료를 조금씩 사용해 새로운 맛 탐구 할수 있게 독려합니다.

모든 식품을 한꺼번에 넣은 죽도 좋지만 쌀죽, 채소, 고기를 각각 준비해 그릇에 따로 또는 죽 위에 얹어서 줘도 좋습니다.

 

만 9-11개월에는 활동량도 많아지고 몸도 커지기 때문에 영양 보충을 위해서라도 꼭 이유식을 해야하며 덩어리가 커지고 횟수도 증가하며

수유량은 줄여야 하는 시기 입니다.

양은 모유 혹은 분유 500-600cc는 적어도 먹이고 이유식은 120-150ml 정도가 좋습니다.

하루 세끼 이유식 그리고 1-2번의 간식이 적당하며 하루에 20g정도의 고기가 들어가면 좋습니다.

스스로 숟가락으로 먹는 연습을 진행하고 액체 음식은 꼭 컵으로 먹게 합니다.

이유식이 너무 무르면 혀로 으깨고 너무 단단하면 잇몸으로도 안되 그냥 삼킵니다.

어른 식사하듯이 밥과 반찬이 어우러진 상차림으로 주고 현미와 잡곡 충분히 불려서 먹이면 소화시키는 데는 지장이 없습니다.

숟가락을 쥐어주거나 핑거푸드 이유식을 만들어 줍니다. 혼자 먹는 습관을 길러줘야 나중에 스스로 밥을 먹습니다.

스스로 음식 선택해서 직접 먹으면 두뇌 발달에 큰 도움이 됩니다. 이유식을 잘 안 먹는다고 간을 하게 되면 악순환이 되기 때문에

처음부터 간을 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이유식만 먹고 우유, 분유 적게 먹여도 안됩니다. 두뇌가 급속하게 발달하는 두돌까지는 모유, 분유에 함유된 지방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잘 먹던 아기가 안 먹는 경우도 있지만 성장의 속도가 떨어지고 다른 신기한 것에 정신이 팔려 식욕이 떨어져 먹지 않는 것이라면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후기 이유식 상황 별 추천 재료

감기 – 감자, 양배추, 브로콜리, 오이(열 감기), 단호박, 모(기침 감기)

빈혈 – 브로콜리, 콜리클라워, 완두콩, 시금치, 미역, 달걀노른자, 대추

변비 – 양배추, 브로콜리, 고구마, 잘 익은 바나나, 사과, 자두, 건포도

설사 – 찹쌀, 감자, 완두콩, 단호박, 익힌 사과, 익힌 당근, 흰살 생선

보양식 – 구기자, 대추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